17분동안 숨을 참는 마술을 선보인 마술사?
그 방법은?
= 1초씩 참는 시간을 늘려가는 것.
[스케일업의 원칙]
#1 Know-Why: 왜 이것을 해야하는가?
우리는 왜 수업을 변화시키려 하는가?
무얼 하려고?
당신이 되고 싶은 것이 무엇인데?
우리가 되고 싶은 것이 무엇인데?
질문부터 시작해야 한다.
-> 첫 시작은 보잘 것 없지만, 시간이 흘러도 항상 질문 자체는 살아있어야 한다.
->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확인하는 과정. “질문의 힘”
“타인의 삶을 사느라, 자신의 시간을 낭비하지 마십시오.”
-스티브잡스(2005, 스탠퍼드대 졸업식)-
소비자들은 싸고, 좋은 제품을 원하지 않는다. 정체성이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원한다.
#2 경험의 축적, 기록의 문화
스케일업은 반복의 모든 과정을 기록하는 것.
100년 글로벌 기업의 10년차 엔지니어 = 110년차 엔지니어.
우리의 문제는 개인의 역략이나 아이디어가 없는 것이 아니라, 계단이 없는 것이다.
#3 격렬한 네크워킹을 경험하라.
누구도 남 앞에서 시행착오를 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스케일업을 해나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타인의 지식이 필요하다.
손을 잡지 않으면 스케일업이 되지 않는다.
선진국에서는 살기 위해서 스케일업을 실천한다.
이제 우리에게 스케일업은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 입니다.
지금도 힘들어 죽겠는데,
또 ‘노오력’을 하라는 것인가?
=> 네, 맞습니다. 노력의 시대입니다.
창의력, 아이디어의 시대가 아니라 다시 노력의 시대입니다.
끈기, 근성, 지속성.
그래서 중요한 것?
리더가 마인드를 바꾸어야 한다. 리더부터 출발해야 한다.
<2부에 계속...>
http://kapi.kbs.co.kr/review/hot_tv_detail?episode_id=PS-2017066057-01-000
'Edu > Thin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적의시간 #유령이된리더들 #2부 (0) | 2017.10.06 |
---|---|
#TED #Grit #Success (0) | 2016.08.23 |
#화 #폭력 #감정 (0) | 2016.05.21 |